반응형

투자 공부/기초 23

액면병합(reverse stock split) 알아보기

Table of contents 액면병합(reverse stock split) 얼마 전 카카오가 액면 분할로 인해 많이 떠들썩했었습니다. 그래서 액면 분할에 대해서 간략히 조사를 하고, 카카오의 공시를 통해서 케이스 스터디한 내용을 포스팅했었습니다. 이번에는 액면 분할과는 반대로 액면 병합에 대해서 조사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크게 어렵고 복잡한 내용은 아니어서 간단히 뜻에 대해서 알아보고, 실제로 제가 가지고 있는 ETF에서 변화된 내용 위주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의문의 문자 한 통 얼마 전 키움 증권으로부터 문자가 한통 왔습니다. 보통 배당금이 입금되었다는 것이 대부분인데, 그날은 내용이 조금 달랐습니다. 또한 생각해보니, 배당금 알림 통지는 SMS가 아닌, 카톡 메시지로 왔었는데 이번 ..

샤프지수(sharp ratio) 알아보기

Table of contents 샤프지수(sharp ratio) 자산배분 투자에 있어서 어떤 포트폴리오를 선택할지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어차피 미래는 예측할 수 없으므로 우리는 최대한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포트폴리오를 평가해봅니다.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백테스트를 수행했을 때, 주로 등장하는 연평균 성장률(CAGR)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변동성에 대해 살펴보는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혹시, 안보셨다면 이 글을 읽기전에 한번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2021.03.08 - [투자 공부/기초] - 수익률과 기하평균 2021.03.12 - [투자 공부/기초] - 변동성과 표준편차 오늘은 수익률과 변동성을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평가하는 샤프지수(sharp ratio)에 대해..

장기투자의 적! - 변동성

Table of contents 장기투자의 적! - 변동성 이전 포스트에서는 변동성을 측정하는 표준편차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왜 변동성을 줄여야 하는지 간략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좀 극단적이긴 하지만, 엑셀 시트를 이용하여 간단한 시뮬레이션으로, 장기투자에 있어서 변동성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왜 주의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사실 오늘 공부를 하기 전까지는 변동성은, 단지 내가 자금이 필요할 타이밍에 매도를 해야하는데 그때 자산이 내려가 있는 경우 손실 리스크를 얻을 수 있는 정도라고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즉, 매도를 하지 않고 계속 보유를 한다고 했을 때 변동성이 주는 위험성에 대해서는 크게 인지를 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조금 살펴보니, 변동성이란 녀석은 포트폴리오의 ..

변동성과 표준편차

Table of contents 변동성과 표준편차 투자를 함에 있어서, 리스크는 항상 존재합니다. 리스크가 없는 투자란 있을 수 없죠. 투자자에게 리스크는 항상 피하고 싶은 존재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리스크라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어떤 행동을 할 수 있을까요? 먼저 리스크를 측정하는 수단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어떤 포트폴리오를 선택할지, 또는 어떤 회사를 선택해서 투자를 할지 우리는 늘 선택을 해야만 하고, 이때 리스크가 낮으면서 수익성은 높을만한 투자처를 찾아야 합니다. 우리는 흔히 주식은 위험하고 채권은 안전하다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아마도, 가장 직관적인 이유는 "변동성"때문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변동성이란 무엇일까요? 네. 따로 정의하지 않아도 여러분들의 머리속에 있는 바로 그 개념..

수익률과 기하평균

Table of contents 수익률과 기하평균 직접 투자를 하다 보니, 내가 과연 1년에 얼마나 수익을 내는 것인지 확인을 해볼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현재 매월 1회 현재 수익률 정도만 캡처해서, 그 추이만 살펴보고 있는 중인데요.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률을 확인해보고, 더 나아가서 시장지수와 비교하여 어떻게 움직이는지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그전에 오늘은 연평균 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CAGR을 계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개념인 기하평균(geometric mean)에 대해서도 같이 정리해보겠습니다. 수익률을 계산해보자 우리는 평균에 대해서 매우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흔히 평균이라고 하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