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공부/자산배분 3

코스피-달러 스위칭 전략

Table of contents들어가며자산배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관관계입니다. 보통 위험자산군과 안전 자산군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성립하게 됩니다. 우리는 투자를 할 때, 이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한쪽이 내릴 때 올라주는 자산을 동시에 매수를 하여 변동성을 줄이고 장기적으로 우상향 할 수 있는 방법을 추구해야 할 것입니다.그리고, 이 방법은 홍춘옥 박사님의 아이디어를 토대로 구성한 것임을 밝힙니다.대표적으로 주식-채권을 같이 담는 전략이 있는데요, 보통 보험사에서 많이들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위험자산인 주식과 안전자산인 채권을 섞는 것인데, 혹시 이 내용이 궁금하시면,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2021.05.08 - [투자 공부/자산배분] - 주식과 채권 사이의 관계2021...

주식과 채권 사이의 관계

Table of contents 주식과 채권 사이의 관계 자산 배분 투자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포트폴리오는 아마도 주식과 채권의 혼합형일 것입니다. 또한, 자산배분에서 가장 핵심은 서로 상관관계가 다른(음수인) 자산을 하나의 포트폴리오 안에 보유하는 것입니다. 여러가지 자산이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자산으로는 주식과 채권이 있습니다. 또한 이 둘 사이의 관계는 서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저는 올웨더 포트폴리오, 그리고 주식/채권 혼합형 포트폴리오를 여러 개의 계좌에 나누어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경우 채권 비중이 전체 포트폴리오의 55%를 차지할 만큼 매우 높게 책정되어있습니다. 주식과 채권에 투자를 하면서 이 둘 사이의 상관계가 그냥 음수니까 서로 위험을..

마음이 편한 투자를 원한다면?

Table of contents 마음이 편한 투자를 원한다면? 대략 2020년 5월부터 투자를 하기 시작하고, 7월부터 블로그를 운영해왔습니다. 아직 1년도 되지 않은 초보 투자자이지만, 그동안 투자를 하면서 나름 많은 경험을 했고, 또 블로그에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면서 투자에 대한 지식도 조금씩 쌓이고 있습니다. 최근에 "자산배분"이라는 카테고리를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만들게 된 이유는 자산 배분을 이용한 분산투자를 하고 있지만 정작 자산 배분과 관련한 내용들에 대해서는 좀 부족함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이 카테고리의 첫 번째 글을 어떤 내용으로 적어볼까 생각하다가, 아직 투자를 망설이고 있는 많은 분들에게 지난 짧은 기간동안 저의 경험을 빗대어서 조금은 안전하게 투자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