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공부/채권 13

세전은행환산이자 알아보기

Table of contents들어가며요즘 채권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실제 투자를 하려고 들어가 보면 "세전은행환산이자"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뜻을 잘 몰라도, 직관적으로 이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세전으로 이 정도 은행이자만큼 벌 수 있을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우리가 투자를 진행함에 있어서 예상되는 수익률은 매우 중요한 지표일 것입니다. 채권은 엄연히 은행예금과는 다르기때문에 실질적으로 수익률이 다르게 표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 수치가 도입이 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은행이자 만큼 벌 수 있으려면 몇 가지 조건이 있어야 하고요, 실제 수익과는 괴리가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떤 경우에 이 수치를 신뢰할 수..

장내/장외 채권 알아보기

Table of contents들어가며채권은 보통 주식보다 위험이 덜하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그리고 경제 위기나 불황이 오게 되면 가격이 올라주기 때문에 자산배분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상품이기도 합니다. 현재 ETF를 운용중에 있는데, 채권 ETF의 경우 가장 쉽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요즘 예금처럼 조금은 더 안전하게 투자를 해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찾아보던 중, 채권은 장외/장내로 나누어서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아직 본격적으로 채권에 투자를 하지는 않고 있지만, 앞으로 투자를 위해서 가볍게 살펴보았습니다. 이와 관련한 내용 공유드립니다. 장내채권이란?채권도 주식처럼 시장이 있습니다.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서 개설한 시장에서 거래되는 채권을 말합니다. 채권의 가격은 ..

장단기 금리차이와 경기침체

들어가며채권을 공부하면서, "단기 채권과 장기채권의 금리 차이가 역전이 되면 경기 침체가 온다."라는 말을 많이 접했습니다. 그리고 현재도 긴 시간 동안 역전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데요,이런 상황에서 경기 침체가 오는 것인지에 대해서 많은 전문가들이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한번 정리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금리의 차이가 어떤 의미를 가지며, 경기침체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채권이란?채권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채권은 차용증과 같은 의미로, 돈을 빌리기 위해서 발행하는 문서입니다. 발행할 때 기간과 이자가 결정되어 있고, 이 채권을 매수하는 사람은 만기까지 쭉 가지고 있으면 그 이자를 확정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발행하는 기관 또는 단체의 신뢰성..

환매 조건부 채권(RePurchase agreement) 알아보기

Table of contents들어가며우리가 흔히 CMA나 연금계좌에서 단기 자금을 굴릴 때 "RP" 또는 "RP형"이라는 용어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약관을 살펴보면 아주 작은 글씨로,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다고 나와있는데요, 하지만 보통 은행예금과 동일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기자금을 운용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상품인 환매 조건부 채권에 대해서 알아보고, 투자 방법 그리고 유의사항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보겠습니다.환매 조건부 채권이란?"환매"는 말 그대로 되사준다는 의미입니다. 즉, 어떤 채권이 있는데 이것을 발행자가 투자자에게 되사주는 조건을 붙여서 판매한다는 것입니다. 되살 거면 왜 파나?라고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요, 바로 단기 자금을 융통하기 위해서입니다. 보통 은행..

개인투자용 국채 알아보기

Table of contents개인투자용 국채 알아보기우연히 라디오를 듣다가 나라에서 개인 투자용 국채를 발행한다는 뉴스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마침 2024년 6월에 첫 판매를 한다고 하는데요, 채권에 대해서는 그래도 이전에 공부를 해놓은 터라 소개해주시는 분의 이야기를 큰 무리 없이 잘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후 인터넷에 찾아보니 벌써 많은 분들이 정리를 해놓으셨던데요, 저 역시 해당 상품에 대해서 한번 조사를 해보고,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채권 기초상품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채권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간단히 상기해 보겠습니다. 채권은 대표적은 안전 자산으로 불리며, 주식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투자를 할 때 항상 빠지지 않고 매수하게 되는 상품입니다. 주식과 ..

물가연동채권(TIPS)

Table of contents 인플레이션과 명목 채권 주식과 채권과의 관계에 대해서 포스팅한 글이 있었습니다. 요지는 주식과 채권은 상관관계가 음수가 아닐 수도 있다는 말씀을 드렸고, 상관관계가 양수인 구간에서는 보통 같이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상관관계가 양수인 구간은 언제인가?"라고 하면 바로 중앙은행에 의해 시장금리가 상승하게 되는 금리인상 기라고 하였습니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따라 금리가 인상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바로 인플레이션이 왔을 때입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한번 포스팅한 적이 있었는데요,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게 되면 중앙은행에서는 금리를 올려서 물가를 잡으려고 할 것입니다. 그럼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은 어떻게 될까요? 채권 가격 계산하는 방법을 살..

환매 조건부 채권(Repurchase Agreement)

Table of contents 환매 조건부 채권(Repurchase Agreement) 최근 미국 국채 금리 인상으로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변동성이 뉴스에 나오고 있습니다. 국채 금리를 포함하여 금리를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게 바로 "기준금리"인데요, 우리나라 기준금리를 이해하려고 보니 환매 조건부 채권을 먼저 알아야 할 것 같아서 먼저 정리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환매 조건부 채권은 흔히 RP라고 하는데, 영어 약자로 하면 RA가 되어야 맞지 않나 싶은데요. 환매, 즉 "RePurchase"에 초점을 맞추어서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환매, 즉 다시 사준다/되사준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채권이긴 한데, 다시 되사주는 채권 즉, 어떤 채권을 매도를 하는데 특정 기간..

제로 쿠폰 채권(Zero coupon bond)

Table of contents 제로 쿠폰 채권(Zero coupon bond) 오늘은 자산배분에 많이 사용하는 제로 쿠폰 채권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현재 제가 운용 중인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약 20%의 비중으로 들어가 있는데요, 현재 아주 그냥 수익률이 마이너스 두 자리를 기록하고 있네요. 요즘 채권을 공부해보면서 채권의 가격결정과 듀레이션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요, 아마 오늘 드릴 이야기를 보시기 전에 위 두 내용정도는 숙지를 하시고 보시면 조금 더 이해가 잘 되실 듯합니다. 2021/02/11 - [투자 공부/채권] - 채권의 가격 계산 2021/02/14 - [투자 공부/채권] - 듀레이션(duration) 먼저 제로쿠폰 채권에 대해서 정의를 하자면, "제로 쿠폰" 말 그대로 쿠폰이 제로인..

듀레이션(duration)

Table of contents 듀레이션(duration) 오늘은 채권에서 나오는 중요한 개념인 듀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duration의 사전적 의미는 기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채권의 구성요소 중, 만기가 있는데, 저는 처음에 듀레이션과 만기를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를 하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채권의 만기는 연단 위로 표현되며, 듀레이션도 연단 위가 됩니다. 또한, 채권의 만기도 듀레이션에 영향을 주는데, 만기가 길어질수록 듀레이션도 비례해서 증가하는 양상이 있습니다. 비슷한듯 비슷하지 않은 두 개념이 헷갈리게 되어서 이번에 한번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듀레이션의 정의 공부를 하다보니, 듀레이션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맥컬리 듀레이션에..

만기 수익률(Yield to Maturity)

만기 수익률(Yield to Maturity) 채권을 공부할 때 꼭 등장하는 개념인 만기 수익률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만기 수익률 / 시장 이자율 등등 여러 가지 용어가 나와서 헷갈리기 시작하는데요, 오늘은 채권의 시장이자율과 만기수익률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수익률 vs 이자율 수익률과 이자율은 모두 비율로써, 0 ~ 1사이 값을 갖습니다. 연이자 2%를 주는 정기예금에 가입했다고 해봅시다. 이때 2%는 이자율이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관점을 달리 해서, 2%라는 것은 내가 정기예금상품에 투자를 했을 때 1년 후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원금의 2%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이자율과 수익률은 동일한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채권자의 입장 돈을 빌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