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공부/ETF

ETF 장기 투자 후기

MyMoneyTree 2024. 11. 16. 00:24
반응형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운이 좋게도, 부업으로 월 50~60만 원 정도의 고정 수입이 약 2년간 생길 기회가 있었습니다. "없는 돈이다"라고 생각하고 꾸준히 모으려고 계획을 세웠는데요, 일단 적금을 들기에는 금리가 너무 낮아서 투자를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2021.03.24 - [투자 공부/자산배분] - 마음이 편한 투자를 원한다면?

     

    예전에, 나름 공부를 하면서 저의 성향에 맞는 투자 방법을 찾았다고 생각하였는데요, 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위 포스트에 한번 공유를 하였습니다. 그래서 일단 적립식이고 2년간 시간이 정해져 있으니 적금보다는 위험성이 있지만, 최대한 안정적으로 한번 굴려보고자 계획을 세웠습니다.

    출차 : moneytree

    ETF선택, 계좌의 선택 등등 여러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지난 2년간 투자해 본 결과에 대해서 후기 겸 공유를 드리겠습니다.

    아마도 ETF 장기 투자 후기가 될 텐데요, 2년이라는 시간을 장기로 보기에는 좀 애매하겠지만, 그래도 긴 시간 투자를 포기하지 않고 했다는 것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네요.

    투자 계획 세우기

    ETF 및 계좌의 선택

    먼저 어떤 상품을 어느 계좌에서 운용을 할 지 결정이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서 선택을 하였습니다.

    투자 기간 중, 리밸런싱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해서 언제든 매수/매도가 가능해야 한다.
    환율 리스크를 피하고, 매매차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 국내 시장에 투자한다.
    2년 후에, 투자를 마무리 한 후 청산을 한다고 가정했을 때, 세금 등의 번거로움이 없어야 한다.
    어차피 여유자금이므로, 혹시나 물렸을 때에는 배당금으로 손실을 메꿔 야하기 때문에 배당도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

     

    위의 기준을 가지고 선택한 상품은 국내 시장 지수인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ETF일반 주식 계좌에서 매수를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상품은 삼성자산운용에서 판매하는 "KODEX 200 ETF"로 하였습니다. 선택하게 된 이유는 거래량이 많고, 분배금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TR형 ETF도 고려해 봤지만, 일단 배당이 바로바로 들어오는 것으로 선택했습니다.

    매수 방법  및 규칙 설정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 나름 중요한 규칙을 세우고 시작하였습니다. 시작 당시에 주당 37000원 정도였던걸로 기억하는데, 20주 정도면 내 돈을 조금 보태서 살 수 있는 적당한 범위로 보였습니다. 세운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매월 11일 입금이 되는 날에 무조건 20주를 매수한다.
      - 타이밍/차트 이런거 보지 말고 돈 들어오면 무조건 바로 매수한다.
    배당금이 들어오면 살 수 있는 만큼 매수를 한다.(복리효과)

     

    딱 두가지 원칙을 세우고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투자 결과

    다음으로는 실제 투자한 성과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매수내역

    날짜 매수가격 매수수량 매수금액 총보유 수량 총보유 금액
    2022-03-14 36070 20 721400 20 721400
    2022-03-29 36650 20 733000 40 1454400
    2022-04-13 36145 20 722900 60 2177300
    2022-04-28 35705 20 714100 80 2891400
    2022-05-06 35310 20 706200 100 3597600
    2022-05-12 34275 20 685500 120 4283100
    2022-05-23 34295 20 685900 140 4969000
    2022-06-03 35295 20 705900 160 5674900
    2022-06-14 34135 20 682700 180 6357600
    2022-07-12 31235 20 624700 200 6982300
    2022-08-12 32555 20 651100 220 7633400
    2022-09-14 30945 20 618900 240 8252300
    2022-10-12 29185 20 583700 260 8836000
    2022-11-14 31280 20 625600 280 9461600
    2022-12-13 30930 20 618600 300 10080200
    2023-01-12 31420 20 628400 320 10708600
    2023-02-14 32690 20 653800 340 11362400
    2023-03-14 31295 20 625900 360 11988300
    2023-04-12 33215 20 664300 380 12652600
    2023-05-12 32795 20 655900 400 13308500
    2023-06-14 34470 20 689400 420 13997900
    2023-07-12 33435 20 668700 440 14666600
    2023-08-14 34025 20 680500 460 15347100
    2023-09-12 33535 20 670700 480 16017800
    2023-10-12 32495 20 649900 500 16667700
    2023-11-14 32375 20 647500 520 17315200
    2023-12-12 33800 20 676000 540 17991200
    2024-01-12 34420 20 688400 560 18679600
    2024-02-14 35750 20 715000 580 19394600
    2024-03-12 36580 20 731600 600 20126200
    2024-05-09 37260 6 223560 606 20349760

     

    거의 매달 초에 매수를 진행하였고, 배당금이 나오면 기다렸다가 다음 매수 시기에 합쳐서 사용을 하였습니다. 2년이 조금 넘는 시간 동안 모으다 보니 2000만 원이 조금 넘게 모였습니다. 사실 중간중간 여유자금이 있을 때마다 더 사기는 했지만, 뒤로 갈수록 여유자금이 없어서 정해진 스케줄대로만 매수를 하게 되었습니다.

    변동성 및 성장율

    투자에 있어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변동성입니다. 관련해서 포스팅도 하긴 했었는데요, 2년간 투자했던 시간 동안 해당 주식은 얼마만큼 변동성을 가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moneytree

    처음 매수했을 때 36000원 근처였는데, 주가가 하락하여 계속 물타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투자가 마무리가 되어갈 때쯤 2024년 1월부터는 계속 상승하여 불타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시기에 물타기로 인해, 최종 매수가 마무리되었을 때 가격이 33000원대로 평단가가 많이 낮아졌습니다. 코스트 애버리징 효과를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시작시점 총 매수금액 19779000
    현재시점 총 매수금액 23276460
    투자기간(년) 2
    CAGR 8.48%
    MDD -21.67%

    투자 기간 동안 고점 대비 하락한 폭을 보면 20%가 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실제로 경험하는 숫자는 아니고요, 왜냐하면 고점에 투자를 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 정도의 폭을 가지는 투자 상품이란 것을 알아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그리고 예전에 내가 투자를 했을 때 연간 얼마나 성장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한번 공유를 한 적이 있었는데요, 

    2021.03.08 - [투자 공부/기초] - 수익률과 기하평균

    해당 공식으로 계산해 보니, 대략 연간 8%의 수익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은행이자보다 더 높은 수익을 기록했으니 나름 성공적인 투자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아래 표는 한번 확인만 해본 것인데요,

    최저점 17686110
    수익률 31.61%
    최고점 22579560
    수익률 3.09%

    투자 기간 동안 가장 고점과 저점을 확인하고, 만약 최상의 경우와 최악의 경우에서 수익실현을 했을 때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놀랍게도 최악의 경우에도 은행이자만큼은 벌 수 있었네요. 

    물론 제가 투자한 2년간의 기간에 한정된 수치이긴 하지만, 적립식으로 꾸준히 매수를 하면 코스트 애버리징 효과로 인해 보다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배당금

    투자기간 동안 지급되었던 배당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주식형 ETF라고 하더라도, 분배금에 대해서는 15.4%의 과세가 있습니다. 아래 금액은 세후 금액으로 실제 통장에 입금된 금액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날짜 금액
    2022-05-03 33840
    2022-08-02 11850
    2022-11-02 23100
    2023-02-02 20310
    2023-05-03 143070
    2023-08-02 27920
    2023-11-02 42300
    2024-02-02 45020
    2024-05-03 223350

     

    이 ETF는 분기별로 배당을 해주었는데, 뒤로 갈수록 수량이 늘어나니, 배당금액도 같이 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최종 수익

    글을 적으려고 자료를 준비한 시점을 기준으로 일단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평균매입가 33580.46205
    배당수익 570760
    실제 투입 원금 19779000
    현재가 38410
    평가금액 23276460
    수익률 17.68%

     

    투입원금 대비, 배당금을 포함하여 대략 17%의 수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2024년 8월 5일 이전의 일이고요, 이 자료를 만들 당시에는 수익실현을 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출처 : kodex 200 상품 설명서 페이지(삼성자산운용)

    그렇습니다. 그때 수익 실현을 했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8월 5일 검은 월요일에 급락하는 것을 견디지 못해서 모두 청산을 하였고, 제가 얻은 최종 수익은 아래와 같습니다. 두 번에 걸쳐서 매도를 하였고요 실질 수익은 대략 4% 정도 얻었네요. ㅠㅠ

    날짜 매도단가 수량 총액
    2024-08-07 34940 300 10482000
    2024-08-07 34095 306 10433070

     

    마치며

    ETF 장기 투자 후기라고 적어보았지만, 실제로 2년간의 투자 결과물이라 조금 애매하다고 판단하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나름 정해진 규칙대로 투자를 해본 것도 상당히 오랜만이어서 이렇게 기록으로 남겨보기로 하였습니다. 

     

    아참, 그리고 포트폴리오 형태로 달러나 채권을 일정 비율 같이 매수를 해볼까도 생각을 하였는데요, 기본적으로 국내 주식이 아닌 이상 양도 차익에 대한 세금 문제도 있어서 일단 단일 종목으로 매수를 하였습니다. 또한 한 번에 큰 금액을 매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담 없이 살 수 있었기도 했고요.

     

    혹시, 국내 주식형 ETF투자를 생각하고 계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반응형

    '투자 공부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 ETF 알아보기  (0) 2024.11.22
    파킹형 ETF? : sofr, kofr  (2) 2024.11.14
    커버드콜 ETF 투자 후기 (2)  (0) 2024.11.08
    커버드콜 ETF 투자 후기  (0) 2021.12.19
    ETF 스프레드 위험  (0) 2021.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