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권 8

환매 조건부 채권(RePurchase agreement) 알아보기

Table of contents들어가며우리가 흔히 CMA나 연금계좌에서 단기 자금을 굴릴 때 "RP" 또는 "RP형"이라는 용어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약관을 살펴보면 아주 작은 글씨로,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다고 나와있는데요, 하지만 보통 은행예금과 동일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기자금을 운용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상품인 환매 조건부 채권에 대해서 알아보고, 투자 방법 그리고 유의사항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보겠습니다.환매 조건부 채권이란?"환매"는 말 그대로 되사준다는 의미입니다. 즉, 어떤 채권이 있는데 이것을 발행자가 투자자에게 되사주는 조건을 붙여서 판매한다는 것입니다. 되살 거면 왜 파나?라고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요, 바로 단기 자금을 융통하기 위해서입니다. 보통 은행..

개인투자용 국채 알아보기

Table of contents개인투자용 국채 알아보기우연히 라디오를 듣다가 나라에서 개인 투자용 국채를 발행한다는 뉴스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마침 2024년 6월에 첫 판매를 한다고 하는데요, 채권에 대해서는 그래도 이전에 공부를 해놓은 터라 소개해주시는 분의 이야기를 큰 무리 없이 잘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후 인터넷에 찾아보니 벌써 많은 분들이 정리를 해놓으셨던데요, 저 역시 해당 상품에 대해서 한번 조사를 해보고,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채권 기초상품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채권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간단히 상기해 보겠습니다. 채권은 대표적은 안전 자산으로 불리며, 주식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투자를 할 때 항상 빠지지 않고 매수하게 되는 상품입니다. 주식과 ..

환매 조건부 채권(Repurchase Agreement)

Table of contents 환매 조건부 채권(Repurchase Agreement) 최근 미국 국채 금리 인상으로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변동성이 뉴스에 나오고 있습니다. 국채 금리를 포함하여 금리를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게 바로 "기준금리"인데요, 우리나라 기준금리를 이해하려고 보니 환매 조건부 채권을 먼저 알아야 할 것 같아서 먼저 정리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환매 조건부 채권은 흔히 RP라고 하는데, 영어 약자로 하면 RA가 되어야 맞지 않나 싶은데요. 환매, 즉 "RePurchase"에 초점을 맞추어서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환매, 즉 다시 사준다/되사준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채권이긴 한데, 다시 되사주는 채권 즉, 어떤 채권을 매도를 하는데 특정 기간..

제로 쿠폰 채권(Zero coupon bond)

Table of contents 제로 쿠폰 채권(Zero coupon bond) 오늘은 자산배분에 많이 사용하는 제로 쿠폰 채권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현재 제가 운용 중인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약 20%의 비중으로 들어가 있는데요, 현재 아주 그냥 수익률이 마이너스 두 자리를 기록하고 있네요. 요즘 채권을 공부해보면서 채권의 가격결정과 듀레이션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요, 아마 오늘 드릴 이야기를 보시기 전에 위 두 내용정도는 숙지를 하시고 보시면 조금 더 이해가 잘 되실 듯합니다. 2021/02/11 - [투자 공부/채권] - 채권의 가격 계산 2021/02/14 - [투자 공부/채권] - 듀레이션(duration) 먼저 제로쿠폰 채권에 대해서 정의를 하자면, "제로 쿠폰" 말 그대로 쿠폰이 제로인..

듀레이션(duration)

Table of contents 듀레이션(duration) 오늘은 채권에서 나오는 중요한 개념인 듀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duration의 사전적 의미는 기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채권의 구성요소 중, 만기가 있는데, 저는 처음에 듀레이션과 만기를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를 하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채권의 만기는 연단 위로 표현되며, 듀레이션도 연단 위가 됩니다. 또한, 채권의 만기도 듀레이션에 영향을 주는데, 만기가 길어질수록 듀레이션도 비례해서 증가하는 양상이 있습니다. 비슷한듯 비슷하지 않은 두 개념이 헷갈리게 되어서 이번에 한번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듀레이션의 정의 공부를 하다보니, 듀레이션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맥컬리 듀레이션에..

만기 수익률(Yield to Maturity)

만기 수익률(Yield to Maturity) 채권을 공부할 때 꼭 등장하는 개념인 만기 수익률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만기 수익률 / 시장 이자율 등등 여러 가지 용어가 나와서 헷갈리기 시작하는데요, 오늘은 채권의 시장이자율과 만기수익률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수익률 vs 이자율 수익률과 이자율은 모두 비율로써, 0 ~ 1사이 값을 갖습니다. 연이자 2%를 주는 정기예금에 가입했다고 해봅시다. 이때 2%는 이자율이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관점을 달리 해서, 2%라는 것은 내가 정기예금상품에 투자를 했을 때 1년 후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원금의 2%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이자율과 수익률은 동일한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채권자의 입장 돈을 빌린..

채권의 가격 계산

채권의 가격 계산 이전 포스팅에서는 미래에 내가 얻을 수 있는 자산을 현재 시점으로 가져와서(?)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때 할인율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는데요, 5년 후의 100만 원이 5%의 할인율을 적용했을 때 과연 현재 가격으로 얼마인지 계산해보고, 현재 가치로 생각해보는 것을 학습하였습니다. 이제 지난번 공부한 내용을 채권에 적용해보려고 합니다. 채권은 기초에서 알려드렸듯, 발행 시 이미 얻을 수 있는 모든 자산이 다 정해져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채권도 주식처럼 자유롭게 거래를 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요, 거래를 하려면 현재 이 채권이 얼마인지 그 적정 가격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배운 내용을 기초로 하여, 채권이 가진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변환해보는 방법에 ..

채권 기초

채권 기초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불리는 "채권"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 이렇게 카테고리까지 새로 만들었습니다. 올웨더 포트폴리오도 채권의 비중이 절반이 넘고, 연금계좌에서도 채권의 비중이 40%~50% 정도 되는데, 채권에 대한 지식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제로금리 시대에, 채권투자에 대한 여러가지 의견이 나오고 있는 지금, 기본 지식이라도 알아야 포트폴리오에 대한 비중 컨트롤이 가능할 것 같아서 공부를 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그 첫 번째 포스팅으로, 채권이 무엇인지, 관련 용어들을 살펴보고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채권(bond)이란? 채권은 돈이 필요한 정부나, 회사가 자금조달을 위해 일정한 절차에 따라 발행하는 차용증서입니다. 특히 이 차용증서는 시장에서 거래가 되..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