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생상품 2

스왑(swap) 파생상품

들어가며... 투자 관련해서 파생상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선물, 옵션, 그리고 스왑 거래입니다. 모두 다 정리하려고 한 것은 아니지만, 어떻게 하나씩 공부하다 보니 이 세 가지를 모두 정리해보게 되었는데요, 오늘은 그 마지막으로 스왑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선물/옵션과는 달리 스왑은 보통 개인이 거래를 하기보다, 기관대 기관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가 많아서 개인이 직접적으로 투자하는 종목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다만, ETF를 보다보면, "합성 ETF"라는 용어를 들어보셨을 텐데요, 바로 이 합성 ETF는 자산운용사와 증권사간 스왑 계약을 통해서 운영된다고 합니다. 이 내용을 이해해보고자 스왑에 대해서 먼저 공부를 하였고, 한번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물/옵션에 대해서 궁금하..

선물 파생상품

들어가며... 현재 제가 보유하고 있는 포트폴리오중에, 지수 선물 파생상품이 있습니다. 쌀이나 과일 등 농작물을 예르 든, 선물거래에 대해서는 충분히 학습하여 그 의미를 알았는데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경우 어떤 흐름으로 이루어지는지, 또 장단점 등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합니다. 지수 선물 거래 주식 시장에는 주가지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나스닥, s&p500, 다우 지수가 있고, 우리나라는 코스피, 코스닥 지수가 있습니다. 일부 우량기업 200개로 구성된 코스피 200 지수도 있지요. 지수 선물거래란, 바로 이런 특정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미래에 가격을 현재에 결정해서 팔지 살지 거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번 포스트에서는 사과 농장주인과 도매상을 예로..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