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퇴직연금 2

DB / DC 선택기준 알아보기

Table of contents들어가며오래전에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살펴본 것이 우리나라 퇴직연금 제도였습니다. 투자를 먼저 시작한 것도 연금계좌에서 시작을 했었고요. 과거에는 퇴직금에 대해서 제대로 관리를 해주지 않아, 회사가 어렵게 되면서 어쩔 수 없이 퇴직을 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리고 연봉에 퇴직금을 포함시켜서 계약을 하게 되면, 월급을 실제로는 연봉의 1/13로 책정해서 지급을 하면서, 나머지를 퇴직금으로 지급하기도 합니다.그래서 회사와 계약을 할때, 퇴직금 포함여부인지를 항상 따져가면서 비교를 해야 했습니다. 어떻게 되었든 직원이 퇴사를 할 때에는 회사는 그동안 누적되었던 퇴직금을 주어야 하는데, 별도로 충당을 해놓지 않는 경우 바로 주기 어려운 상..

우리나라 퇴직연금/연금저축 제도에 대해...

들어가며... 2019년에 처음으로 개인형 퇴직연금계좌인 IRP계좌를 개설했습니다. 목적은 투자라기 보다는, 소득공제를 위해서였습니다. 작년에는 IRP계좌에 300만원만 채워넣고, 그것도 1.2%짜리 예금으로 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좀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아니, 연금저축을 해야하는 이유가 단지 소득공제만은 아니었다는 사실도 최근에 알게 되었습니다. 퇴직연금을 포함한 연금저축에 대해 정리하고, 왜 해야하는지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퇴직연금제도 우리나라에는 퇴직연금제도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취업하기 전만 하더라도, 연봉협상할 때, 퇴직금이 포함되었는지 별도인지, 회사마다 달랐습니다. 그리고 매년 퇴직금을 정산해서 직원에게 지급하는 그런 회사들도 있었고요. 제가 처음 다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