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물 2

선물 파생상품

들어가며... 현재 제가 보유하고 있는 포트폴리오중에, 지수 선물 파생상품이 있습니다. 쌀이나 과일 등 농작물을 예르 든, 선물거래에 대해서는 충분히 학습하여 그 의미를 알았는데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경우 어떤 흐름으로 이루어지는지, 또 장단점 등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합니다. 지수 선물 거래 주식 시장에는 주가지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나스닥, s&p500, 다우 지수가 있고, 우리나라는 코스피, 코스닥 지수가 있습니다. 일부 우량기업 200개로 구성된 코스피 200 지수도 있지요. 지수 선물거래란, 바로 이런 특정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미래에 가격을 현재에 결정해서 팔지 살지 거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번 포스트에서는 사과 농장주인과 도매상을 예로..

현물거래 / 선물거래

들어가며... 예전부터 많이 들어왔던, 현물거래 선물거래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선물의 경우 현재 S&P 500 지수 선물 ETF 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확히 어떤 원리로 상품이 운용되는지 알아야 할 필요도 있을 것 같습니다. 원자재나 석유와 같은 눈에 보이는 물건은 직관적으로 이해가 좀 될 텐데요, 지수 선물의 경우 기본 원리는 같지만,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좀 헷갈리는 면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물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지수 선물에 대해서는 다음에 또 한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물거래 철수는 과일가게를 운영 하고, 영희는 사과를 재배하는 농민입니다. 철수는 가게에서 팔 사과를 영희에게 구입하기로 합니다. 2020년 10월 어느 날 철수는..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