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1.31 계좌 현황


![]() |
![]() |
![]() |
배당금 현황

마치며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하지만 벌써 한 달이 지났고, 1월 정산을 하게 되었습니다.(실제로는 2월 4일인데요, 1월에 이런저런 일로 정신이 없다 보니 이제야 정리를 하게 되었습니다.)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경우, 달러 수익률로 보면, -10%대인데, 달러가치가 올라가면서 원화로 환산하면 20%넘게 수익 중입니다. 만약 달러를 그냥 가지고만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을 하게 됩니다. 당장 어떤 일이 발생해서 포트폴리오를 청산해야 한다고 하더라도 손해는 아니니 이 정도로 위안을 삼고 있습니다.
연금 저축의 경우 가장 실적이 좋습니다. 현재까지 30%의 수익을 기록하고 있는데.(물론 수익을 실현한 것은 아닙니다) 모든 자산에 대해서 빨간불이 들어와 있으니 매우 뿌듯합니다. 어차피 최소 10년 이상은 더 가져가야할 것이라 그냥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산 간 밸런스도 아직 무너지지 않고 있어서 리밸런싱은 하지 않았습니다. 올해도 연 400만 원 한도를 채울 수 있도록 노력해 봐야겠습니다.
IRP계좌는 정말 마음이 아픕니다. 커버드콜에 대해서 여러 편의 글도 쓰고 후기도 썼지만 정말 상방이 막혀있다는 것을 몸소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당장 연금저축계좌에 있는 현물/선물 S&P500 지수 추종 ETF만 봐도, 30% 넘게 기록하는 지금, 이 녀석은 거의 제로에 가깝게 있습니다. 뭐 크게 마이너스가 아닌 게 어디냐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위에 수익 나는 것과 바로 비교가 되니 정말 마음이 아픕니다.
하지만, 분기별로 들어오는 분배금은 세전 금액으로 바로바로 재투자를 해서 실질적은 수익률은 7%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빨간색은 분배금을 재투자했을 경우,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옥색은 시장가격인데, 분배금 재투자를 하지 않았을 경우를 나타냅니다. 기초지수는 이 ETF가 추종하는 지수입니다.
기초지수와 시장가격의 차이가 괴리율인데, 일단은 큰 차이가 없는 걸로 봐서는 이 부분은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만약 이 부분이 크게 차이가 나고 있다면, 실제 시장가격과 다르게 거래를 할 경우가 많다는 것이므로 주기적인 체크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문제는 기준가격과 시장가격의 차이인데요, 분배금을 재투자하지 않았다면 거의 마이너스 구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지수의 상승으로 인한 자본 차익에 대해서는 기대하기 힘든 모습입니다. 커버드콜의 가장 큰 단점이 하방은 열려있고, 상방은 막혀있다는 것인데, 이 그래프로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고민이 계속 듭니다. 이 포트폴리오를 계속 유지해야 할지, 청산하고 다시 정리를 해야 할지 말입니다. 일단은 재투자를 하면서 좀 더 지켜보고, 아마도 비중줄이면서 다른 자산군을 추가해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조만간 생각의 정리가 되면 새로운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한번 공유해 보겠습니다.
커버드콜 투자하시는 분들은 이 부분 항상 유념하시고 투자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025년, 여러모로 힘든 시기가 지나가고 있는데요, 정치도, 경제도, 모두 안정이 되어서 다시 활기 넘치는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투자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폴리오 Ver 1.3 (0) | 2025.03.11 |
---|---|
2025.2.28 계좌 현황 (0) | 2025.03.02 |
2024.12.31 계좌 현황 (3) | 2024.12.31 |
2024.11.30 계좌 현황 (2) | 2024.11.30 |
2024.10.31 계좌 현황 (2)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