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TPZ 2

물가연동채권(TIPS)

Table of contents 인플레이션과 명목 채권 주식과 채권과의 관계에 대해서 포스팅한 글이 있었습니다. 요지는 주식과 채권은 상관관계가 음수가 아닐 수도 있다는 말씀을 드렸고, 상관관계가 양수인 구간에서는 보통 같이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상관관계가 양수인 구간은 언제인가?"라고 하면 바로 중앙은행에 의해 시장금리가 상승하게 되는 금리인상 기라고 하였습니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따라 금리가 인상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바로 인플레이션이 왔을 때입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한번 포스팅한 적이 있었는데요,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게 되면 중앙은행에서는 금리를 올려서 물가를 잡으려고 할 것입니다. 그럼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은 어떻게 될까요? 채권 가격 계산하는 방법을 살..

제로금리와 미국 장기채권

Table of contents 제로금리와 미국 장기채권 요즘 인플레이션 기대감으로 인해, 채권 금리가 하루가 다르게 오른다는 뉴스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지금과 같은 제로금리 시대에 더 이상 채권으로는 수익을 얻기 힘들다는 부정적인 의견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가 운영하고 있는 포트폴리오 중, 장기채 특히나 EDV와 같은 변동성 높은 종목들을 어떻게 해야 할지 정말 고민이 많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러가지 자료를 좀 찾아보고, 앞으로 어떤 액션을 취할지 의사결정을 해보려고 정리한 내용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투자 중인 채권의 종류 및 비중은 건들지 않고 그대로 간다!입니다. 왜 이런 판단을 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자산배분 투자에서 장기채의 역할 우리가..

1
반응형